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SG
- 중국수출
- 2022트렌드
- 유기농
- 한국콜마
- 인도 화장품
- K뷰티
- 클린뷰티
- 중국nmpa
- 더마코스메틱
- c뷰티
- 플라스틱절감
- 비건화장품
- 홈케어
- ESG경영
- 비건
- 프리도스노트북
- 화장품트렌드
- 인도화장품
- 중국뷰티시장
- 지속가능성
- 중국화장품시장
- 인핸스비
- 비건뷰티
- 2022뷰티트렌드
- 가치소비
- 뷰티트렌드
- 화장품키워드
- 중국화장품
- 마이크로바이옴
- Today
- Total
목록골라보는 뷰티 트렌드 (68)
철스 팁스 Tips

마이크로바이옴은 무엇이길래?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Microbe)+생태계(Biome) 과연 이 용어가 화장품과 무슨 상관관계에 놓여 있는가에 대한 논의 필요 업계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을 ‘미생물을 이용한 소재(화장품·의약품)와 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로 받아들인다 화장품에서 이 기술에 집중하는 이유는? 바로 이 기술을 통해 피부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피부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에 근거 유전체 분석기술의 발달과 함께 주목받기 시작한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소재는 특히 사람의 몸에 존재하고 있는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이 건강·질병 등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이용한 화장품·의약품 개발에 집중 연구함으로써 그 가치가 크게 치솟은 경우 의약품이나 식품과 달리 화장품은 결국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마녀공장 -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비피다 바이옴' 마녀공장 비피다 라인은 마이크로바이옴과 비피다 발효 용해물을 결합한 ‘비피다 바이옴’을 담은 것이 특징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장벽을 강화해 건강하게 가꿔준다 비피다 바이옴 라인은 앰플, 앰플 토너, 로션, 세럼, 크림, 아이크림 등 9종 대표 제품은 비피다 바이옴 콤플렉스 앰플과 앰플 토너 비피다 바이옴 콤플렉스 앰플 비피다 발효 용해물과 마이크로바이옴을 함유 여기에 프로바이오틱스 5종과 히알루론산 10종을 결합 피부 겹겹이 수분을 충전하고 미백‧주름 개선 효과 2020 올리브영 어워즈에서 안티에이징 부문 1등 수상 비피다 바이옴 앰플 토너 피부 수분 장벽을 튼튼하게 토너지만 앰플같은 효과 출시 2주만에 올리브영 매진을 기록 비피다 바이옴과 프로바이오틱..

올 상반기 여성들이 주목한 화장품 70개 카테고리에서 뽑은 톱3 화장품 발표 글로우픽에 상반기(2020.11.16~2021.5.15 기준) 동안 등록된 약 33만 건의 리뷰(집계 리뷰 337,304개)를 분석 리뷰 유저는 27,293명 기초, 색조, 헤어, 바디 등 70개 카테고리의 톱3에 언급된 브랜드는 모두 115개로 집계 톱3 안에 가장 많은 이름을 올린 브랜드는 스킨푸드 7개 제품을 톱3에 진입 그 뒤를 이어 닥터자르트와 클리오가 각각 6개 제품을 기록 5개 제품을 톱3에 랭크시킨 건 에스트라, 헤라, 이니스프리, 미샤, 홀리카홀리카 5개 브랜드 어퓨, 페리페라, 퍼스트랩, 바이오더마, 에뛰드 5개 브랜드도 각각 4개의 제품을 순위권에 올리며 활약 톱3 내에 적어도 3개 제품의 이름을 올린 브랜드..

팬데믹 이후 전 세계 사람들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진 영향으로 디지털헬스를 활용한 보건이 확대 최근 한국바이오협회 산업정책부문 연지원 과장과 오기환 전무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글로벌 디지털 헬스 산업 규모는 1,520억 달러였으며 2027년까지 5,08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각자 집에서 디지털치료제, 가상 임상시험 및 진료, 질병관리, 건강관리 등을 위한 다양한 디지털헬스 서비스 활용 추세 2020년 한 해에만 90,000개 이상의 헬스케어 앱이 새로 서비스되는 등 현재 350,000개 이상이 사용 중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개발하는 디지털 헬스 서비스는 단순 건강관리 및 보조 수단을 넘어 질병 모니터링 등으로 고도화 미국의 디지털헬스 기업에 투자된 규모는 ’19년 77억 달러에서 ..